국민연금 조기수령과 연기수령은 선택에 따라 수령액이 확 달라집니다. 감액·증액률 기준과 조건을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언제 받을지에 따라 인생이 바뀐다
60세, 연금은 눈앞인데 생각보다 건강은 괜찮고 경제활동도 가능하죠.
그런데 국민연금을 미리 받을까 말까, 혹은 조금 더 늦출까 고민하게 됩니다.
이때 감액률과 증액률을 제대로 알지 못하면, 평생 받을 돈이 달라집니다.
국민연금 조기수령 시 감액률은 얼마나 될까
국민연금은 만 60세부터 수령 가능하지만, 희망하면 1~5년 일찍 받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1년당 6%씩 감액, 최대 30%까지 줄어듭니다.
- 예: 수령 시작을 3년 앞당기면 총 18% 감액
- 5년 조기수령 시 최대 30% 감액
즉, 매달 100만 원 받을 수 있는 사람이라면, 5년 조기 수령 시 70만 원만 받게 됩니다.
👉 조건
- 만 55세부터 신청 가능
- 경제적으로 급히 필요할 경우 유용하지만, 신중한 판단이 필요합니다.
연기수령 시 증액률은 어떤 기준일까
연기수령은 반대로 국민연금을 최대 5년까지 늦출 수 있는 제도입니다.
이 경우 1년당 7.2%씩 증액, 최대 36%까지 인상됩니다.
- 예: 3년 연기 시 총 21.6% 증가
- 5년 연기 시 최대 36% 증가
매달 100만 원 받을 수 있는 대상자가 5년 연기하면 약 136만 원을 받게 됩니다.
👉 조건
- 만 61세 이후 신청 가능 (1969년생 기준)
- 건강 상태나 다른 소득이 있을 경우 유리한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조기와 연기, 어떤 선택이 유리할까
상황에 따라 유불리가 크게 달라집니다. 아래 비교로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조기수령이 유리한 경우
- 수명 예측상 80세 이전까지 생존할 확률이 높지 않은 경우
- 당장 소득이 없어 생계가 어려운 경우
- 다른 소득원이 전혀 없는 경우
연기수령이 유리한 경우
- 건강 상태가 양호하고 수명이 긴 집안 내력이 있는 경우
- 노년 소득을 안정적으로 늘리고 싶은 경우
- 은퇴 후 일정 기간 다른 수입이 있는 경우
국민연금 조기수령과 연기수령 선택 실전 팁
선택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할 4가지
- 기대수명 확인하기
평균 수명보다 길게 살 가능성이 높다면 연기가 유리합니다. - 다른 소득 여부 확인하기
다른 연금, 퇴직금, 사업소득이 있다면 연기수령으로 연금 증액 가능 - 가족 병력 및 건강 상태 점검하기
질병이 있다면 조기수령이 더 나은 선택일 수 있습니다. - 실제 월 생활비 시뮬레이션 해보기
조기수령 감액 후 생활비 충족 여부 체크
국민연금 조기수령 연기수령 관련 많이 하는 질문들
국민연금 조기수령하면 취소할 수 있나요?
→ 아니요. 신청 후에는 취소가 불가능합니다.
연기수령은 몇 번까지 나눠서 할 수 있나요?
→ 최대 2회까지 나눠 연기 신청할 수 있습니다.
조기수령 중 다른 소득이 생기면 어떻게 되나요?
→ 일정 소득 이상일 경우 연금 일부가 정지될 수 있습니다.
연기수령 중 사망하면 남은 돈은 어떻게 되나요?
→ 유족연금 등으로 일부 지급되며 소멸되는 금액도 있습니다.
연금 연기 후 중간에 다시 신청 가능한가요?
→ 연기신청 이후 원칙적으로 변경 불가능합니다.
명확한 핵심 정리
조기수령 시 1년당 6% 감액, 연기수령 시 1년당 7.2% 증액됩니다.
최대 5년까지 조기 또는 연기 가능하며, 평생 받는 금액 차이가 큽니다.
본인의 건강, 소득, 생활비를 기준으로 전략적으로 결정해야 합니다.
2025.01.31 - [*경제 지식*] - 국민연금 수급 자격 조회 방법 총정리! 온라인, 모바일, 방문까지 한눈에 확인
국민연금 수급 자격 조회 방법 총정리! 온라인, 모바일, 방문까지 한눈에 확인
어느 날, 친구들과의 모임에서 은근슬쩍 나이를 주제로 한 농담이 오갔습니다. "우리도 이제 슬슬 국민연금 받을 나이가 다가오는 거 아냐?"라는 말에 모두가 웃었지만, 문득 '정말 내가 국민연
ee.it4989.co.kr
'*경제 지식* > 금융·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퇴사 전 체당금 받을 수 있을까? 임금체불 정확한 대응법 (0) | 2025.05.23 |
---|---|
군적금 비대면 해지하면 매칭지원금은 어디로 들어올까 (0) | 2025.05.22 |
채무조정제도 신청 가능할까? 대부업·보금자리론 포함해서 정리 (0) | 2025.05.21 |
국민취업지원제도 끝났다면 내일배움카드는 어떻게 쓰나요? (0) | 2025.05.21 |
임금체불 시 자연이자 받을 수 있는 방법 (0) | 2025.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