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 단가 계산법을 쉽게 정리한 글로, 주식 매수 후 헷갈리는 가격 계산을 정확하고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한 번쯤 헷갈렸던 평균 단가 계산
처음 주식 매수한 뒤 추가로 매수할 때
평균 단가 계산이 애매했던 경험, 있으셨을 겁니다.
주식 어플이 알려주지 않으니
스스로 계산해야 하는 상황도 꽤 자주 생깁니다.
그런데 정작 유튜브에 나와 있는 설명들은
도형이나 그래프로 어렵게 풀어내
초보 투자자 입장에서는 오히려 더 복잡하죠.
평균 단가 계산은 이럴 때 필요합니다
주식을 처음 매수하고
이후 가격이 달라졌을 때 추가 매수할 경우
얼마에 매수해야 내 평균 단가가
어느 수준으로 형성되는지 알고 싶을 때 쓰입니다.
정확하게는 '예상 수익률'을 계산하기 위해
평균 단가를 미리 계산해야 하죠.
주식 평균 단가 계산법, 이렇게 하세요
복잡하게 생각하지 마세요.
아래 공식 하나면 끝입니다.
(기존 매수금액 + 추가 매수금액) ÷ 총 주식 수 = 평균 단가
예시로 한번 정리해볼게요.
- 1차 매수: 주가 100원, 금액 1,000원 → 주식 10개
- 2차 매수: 주가 200원, 금액 1,000원 → 주식 5개
총 매수 금액은 2,000원.
총 주식 수는 15개.
따라서 평균 단가는
2,000 ÷ 15 = 133.3원
많은 분들이 착각하는 포인트
- 금액이 같으면 평균도 정중앙일 거라는 오해
→ 주식 수가 다르기 때문에 그렇지 않습니다. - 주식 수로만 평균 내면 된다고 생각
→ 실제로는 금액 기준으로 무게중심이 달라집니다. - 어플에서 평균 단가가 자동으로 나올 거라고 기대
→ 실제로는 투자 후 직접 계산해야만 알 수 있습니다.
평균 단가 계산, 이렇게 해보세요
순서형 방법
- 기존에 보유한 주식 수와 단가 확인
- 추가 매수할 주가와 매수 금액 확인
- 기존 총 금액 + 추가 금액 = 총 매수 금액 계산
- 기존 주식 수 + 추가 주식 수 = 총 수량
- 총 매수 금액 ÷ 총 주식 수 = 평균 단가
실전 팁
- 평균 단가는 무조건 금액 기준으로 계산해야 합니다.
- 액면가는 고려하지 않아도 됩니다.
- 엑셀에 위 공식을 넣어두면 매번 계산하기 편합니다.
- 투자 전 시뮬레이션으로 예상 단가와 수익률을 점검해보세요.
주식 평균 단가 계산법 자주 묻는 질문들
주식 평균 단가 계산법, 왜 필요한가요?
→ 예상 수익률을 계산할 때 기준이 되기 때문입니다.
주식 수만으로 평균 단가 구해도 되나요?
→ 금액 기준이 정확합니다. 주식 수만으로는 오류 발생합니다.
어플에서 평균 단가 안 나오는 이유는 뭔가요?
→ 보통 실시간 수익률만 보여주기 때문에 직접 계산해야 합니다.
매수 금액이 달라도 공식은 똑같이 적용되나요?
→ 네, 금액이 다르더라도 공식은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엑셀로 계산할 때 함수는 어떤 걸 쓰면 되나요?
→ = (A1 + B1) / (A2 + B2) 방식으로 간단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기억해야 할 평균 단가 계산 공식
총 매수 금액을
총 주식 수로 나눈 값이
평균 단가입니다.
추가 매수 시 꼭 계산해 보세요.
'*경제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퇴직연금DC 남아있는 돈 찾기, 정산부터 해지까지 실제 방법 (0) | 2025.04.19 |
---|---|
미래에셋 시간외거래 주문창이 사라졌다면 이 방법 (0) | 2025.04.18 |
출산휴가 90일 중 회사가 책임지는 날짜는 딱 여기까지 (2) | 2025.04.17 |
육아휴직 순차사용 헷갈리면 손해입니다 (0) | 2025.04.17 |
금1돈살때 꼭 확인할 3가지 기준 (0) | 2025.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