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지식*

출산휴가 90일 중 회사가 책임지는 날짜는 딱 여기까지

by 정보가 곧 돈이다 2025. 4. 17.
반응형

출산휴가 급여는 개월 수가 아닌 정확한 60일 기준으로 회사가 지급해야 하며, 이후 30일은 고용보험에서 지급됩니다.


출산휴가 급여, 두 달분이라고 생각했다면 꼭 읽어야 합니다

출산을 앞두고 가장 현실적으로 고민되는 문제 중 하나가 바로 ‘급여’입니다.
회사에서는 얼마까지 줘야 하는지, 그 이후는 어떻게 되는지 명확하지 않다는 말도 많이 들립니다.

 

‘출산휴가 90일 중 2개월은 회사, 1개월은 고용보험’
이렇게 알고 있는 분들이 많지만, 정확하게 따져보면 잘못된 표현입니다.


출산휴가 급여 질문 지식인
출산휴가 급여 질문 지식인

출산휴가 급여는 개월 수가 아닌 ‘60일 + 30일’입니다

법적으로 출산휴가는 총 90일입니다.
이 중 급여와 관련된 부분은 아래처럼 나뉘어집니다.

  • 첫 60일은 회사가 유급으로 지급해야 합니다.
  • 나머지 30일은 고용보험에서 지급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는
‘두 달치’ 같은 달 기준 계산이 아니라 ‘일 수’로 딱 잘라서 계산한다는 점입니다.

 

만약 12월 10일에 출산휴가를 시작했다면,
회사는 정확히 60일 후인 2월 7일까지의 급여만 지급하면 됩니다.


그 이후인 2월 8일부터 3월 10일까지는 고용보험이 지급하게 됩니다.


출산 휴가 급여는 개월이 아닌 일수로 계산
출산 휴가 급여는 개월이 아닌 일수로 계산

출산휴가 급여 계산, 이렇게 하면 정확합니다

반응형

출산휴가 급여는 ‘달 단위’로 끊으면 오히려 더 혼란스러워집니다.
회사 입장에서도, 직원 입장에서도 헷갈리지 않으려면 아래 기준을 정확히 지켜야 합니다.

  1. 출산휴가 시작일 기준으로 날짜를 세기 시작합니다.
  2. 그날 포함해서 60일 동안은 회사가 유급으로 지급합니다.
  3. 61일째부터 90일까지는 고용보험에서 별도로 지급됩니다.

출산휴가를 12월 10일에 시작했다면
→ 회사가 지급할 기간은 12월 10일부터 2월 7일까지입니다.
→ 고용보험 지급 기간은 2월 8일부터 3월 10일까지입니다.


정확한 출산 휴가 급여 계산법
정확한 출산 휴가 급여 계산법

실무에서 자주 헷갈리는 포인트 정리

  • Q. 1월처럼 31일까지 있는 달은 어떻게 계산하나요?
    → 달 길이는 전혀 상관없습니다. 무조건 ‘일수 기준’으로 60일 계산합니다.
  • Q. 1월 10일~2월 10일처럼 달 기준으로 계산하면 안 되나요?
    → 그렇게 계산하면 일수가 맞지 않습니다. 법적으로는 잘못된 방식입니다.
  • Q. 회사가 2개월치 월급만 주면 되나요?
    → 아니요. 정확히 60일치 급여를 지급해야 합니다. 2개월 급여와 일수가 맞지 않을 수 있습니다.
  • Q. 급여는 어떤 방식으로 지급하나요?
    → 평상시 월급과 동일한 방식으로 지급합니다. 다만 출산휴가 기간만큼 일수 계산을 따로 적용해야 합니다.
  • Q. 공휴일이나 주말도 포함되나요?
    → 네. 출산휴가 90일은 연속된 달력 기준 날짜이기 때문에 주말·공휴일도 포함됩니다.

많이 묻는 질문들

출산휴가 중 회사는 며칠치 급여를 주나요?
→ 정확히 60일치만 지급합니다.

 

출산휴가 시작일은 언제부터 계산하나요?
→ 실제 출산휴가 시작일 기준으로 계산합니다.

 

출산휴가 기간 중 공휴일도 포함되나요?
→ 네, 휴일 포함해서 연속 90일 기준입니다.

 

2개월치만 지급하면 되는 줄 알았는데 잘못된 건가요?
→ 네. 일수로 60일을 계산해야 합니다. 월 단위 계산은 정확하지 않습니다.

 

고용보험 급여는 자동으로 지급되나요?
→ 신청 절차를 거쳐야 하며, 회사 또는 본인이 신청할 수 있습니다.


핵심은 ‘일수’ 기준, 60일까지만 회사가 지급합니다

출산휴가 급여는 시작일 기준으로 정확하게 60일까지만 회사가 유급 지급하고,
남은 30일은 고용보험에서 지원받는 구조입니다.

‘두 달치’라는 표현은 헷갈리기 쉬우니 꼭 일수로 계산해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