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산휴가 급여는 개월 수가 아닌 정확한 60일 기준으로 회사가 지급해야 하며, 이후 30일은 고용보험에서 지급됩니다.
출산휴가 급여, 두 달분이라고 생각했다면 꼭 읽어야 합니다
출산을 앞두고 가장 현실적으로 고민되는 문제 중 하나가 바로 ‘급여’입니다.
회사에서는 얼마까지 줘야 하는지, 그 이후는 어떻게 되는지 명확하지 않다는 말도 많이 들립니다.
‘출산휴가 90일 중 2개월은 회사, 1개월은 고용보험’
이렇게 알고 있는 분들이 많지만, 정확하게 따져보면 잘못된 표현입니다.
출산휴가 급여는 개월 수가 아닌 ‘60일 + 30일’입니다
법적으로 출산휴가는 총 90일입니다.
이 중 급여와 관련된 부분은 아래처럼 나뉘어집니다.
- 첫 60일은 회사가 유급으로 지급해야 합니다.
- 나머지 30일은 고용보험에서 지급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는
‘두 달치’ 같은 달 기준 계산이 아니라 ‘일 수’로 딱 잘라서 계산한다는 점입니다.
만약 12월 10일에 출산휴가를 시작했다면,
회사는 정확히 60일 후인 2월 7일까지의 급여만 지급하면 됩니다.
그 이후인 2월 8일부터 3월 10일까지는 고용보험이 지급하게 됩니다.
출산휴가 급여 계산, 이렇게 하면 정확합니다
출산휴가 급여는 ‘달 단위’로 끊으면 오히려 더 혼란스러워집니다.
회사 입장에서도, 직원 입장에서도 헷갈리지 않으려면 아래 기준을 정확히 지켜야 합니다.
- 출산휴가 시작일 기준으로 날짜를 세기 시작합니다.
- 그날 포함해서 60일 동안은 회사가 유급으로 지급합니다.
- 61일째부터 90일까지는 고용보험에서 별도로 지급됩니다.
출산휴가를 12월 10일에 시작했다면
→ 회사가 지급할 기간은 12월 10일부터 2월 7일까지입니다.
→ 고용보험 지급 기간은 2월 8일부터 3월 10일까지입니다.
실무에서 자주 헷갈리는 포인트 정리
- Q. 1월처럼 31일까지 있는 달은 어떻게 계산하나요?
→ 달 길이는 전혀 상관없습니다. 무조건 ‘일수 기준’으로 60일 계산합니다. - Q. 1월 10일~2월 10일처럼 달 기준으로 계산하면 안 되나요?
→ 그렇게 계산하면 일수가 맞지 않습니다. 법적으로는 잘못된 방식입니다. - Q. 회사가 2개월치 월급만 주면 되나요?
→ 아니요. 정확히 60일치 급여를 지급해야 합니다. 2개월 급여와 일수가 맞지 않을 수 있습니다. - Q. 급여는 어떤 방식으로 지급하나요?
→ 평상시 월급과 동일한 방식으로 지급합니다. 다만 출산휴가 기간만큼 일수 계산을 따로 적용해야 합니다. - Q. 공휴일이나 주말도 포함되나요?
→ 네. 출산휴가 90일은 연속된 달력 기준 날짜이기 때문에 주말·공휴일도 포함됩니다.
많이 묻는 질문들
출산휴가 중 회사는 며칠치 급여를 주나요?
→ 정확히 60일치만 지급합니다.
출산휴가 시작일은 언제부터 계산하나요?
→ 실제 출산휴가 시작일 기준으로 계산합니다.
출산휴가 기간 중 공휴일도 포함되나요?
→ 네, 휴일 포함해서 연속 90일 기준입니다.
2개월치만 지급하면 되는 줄 알았는데 잘못된 건가요?
→ 네. 일수로 60일을 계산해야 합니다. 월 단위 계산은 정확하지 않습니다.
고용보험 급여는 자동으로 지급되나요?
→ 신청 절차를 거쳐야 하며, 회사 또는 본인이 신청할 수 있습니다.
핵심은 ‘일수’ 기준, 60일까지만 회사가 지급합니다
출산휴가 급여는 시작일 기준으로 정확하게 60일까지만 회사가 유급 지급하고,
남은 30일은 고용보험에서 지원받는 구조입니다.
‘두 달치’라는 표현은 헷갈리기 쉬우니 꼭 일수로 계산해야 합니다.
'*경제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평균 단가 계산 예시로 보는 꿀팁 정리 (0) | 2025.04.19 |
---|---|
미래에셋 시간외거래 주문창이 사라졌다면 이 방법 (0) | 2025.04.18 |
육아휴직 순차사용 헷갈리면 손해입니다 (0) | 2025.04.17 |
금1돈살때 꼭 확인할 3가지 기준 (0) | 2025.04.17 |
신용불량자도 가능한 통장 개설 조건 정리 (0) | 2025.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