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지식*

고교취업연계장려금 500만원 받는 법! 재직 기간과 환수 조건 필수 체크

by 정보가 곧 돈이다 2025. 2. 11.
반응형

고교취업연계장려금: 재직 기간과 환수 조건 완벽 정리

1. 고교취업연계장려금이란?

고교취업연계장려금은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일반고 직업반 학생들이 졸업 후 중소기업에 취업하여 경제적 자립을 이룰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이 제도는 총 500만 원의 장려금을 지급하며, 일정 기간 중소기업에서 근무하는 것을 조건으로 합니다. 청년 실업을 줄이고, 고졸 취업을 활성화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2. 지원 대상 및 지급 기준

지원 대상

  •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일반고 직업반 졸업생
  • 졸업 후 1년 이내에 중소기업 취업
  • 15시간 이상 근무

지급 기준

  • 1차 지급 (250만 원): 중소기업 취업 후 6개월 이상 근속 시 지급
  • 2차 지급 (250만 원): 12개월 이상 근속 시 지급


3. 고교취업연계장려금 환수 조건

장려금을 받기 위해서는 일정 기간 동안 중소기업에서 근속해야 하며, 아래 조건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지급된 금액이 환수될 수 있습니다.

환수 대상

  • 졸업 후 1년 내 취업하지 못한 경우
  • 12개월 이상 근속하지 않은 경우
  • 근속 중 퇴사 후 12개월을 채우지 못한 경우
  • 중소기업이 아닌 곳에서 근무한 경우
  • 근로 시간(주 15시간 이상)을 충족하지 못한 경우

환수 기준

환수 사유 환수 금액

6개월 미만 근속 전액 환수
6개월 이상 ~ 12개월 미만 근속 1차 지급분(250만 원) 환수
12개월 이상 근속 환수 없음


4. 재직 기간과 환수 여부

사례 분석

Q: 2024년 1월 졸업 후 여러 회사에서 짧게 근무했는데, 환수 대상인가요? A: 2024년 1월 졸업생이라면, 2025년 1월까지 12개월 근속을 채워야 합니다.

  • 2024년 2월 입사 → 5월 퇴사 (3개월 근속)
  • 2024년 5월 입사 → 8월 퇴사 (3개월 근속)
  • 2024년 10월 입사 → 2025년 1월 퇴사 (3개월 근속)
  • 총 근속 기간: 9개월 → 12개월 미달 → 환수 대상

하지만, 2025년 1월까지 새로운 회사에 입사하여 3개월 더 근속하면 12개월이 충족되므로 환수되지 않습니다.

근속 기간 계산 방법

  • 졸업 후 1년 이내에 취업해야 함
  • 12개월 근속은 반드시 중소기업에서 연속되지 않아도 됨
  • 여러 회사를 합산하여 12개월을 채우면 인정됨


5.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여러 회사를 다녀도 재직 기간이 합산되나요?

A: 네, 가능합니다. 중소기업에서 12개월 이상 근속하면 여러 회사를 다녔더라도 합산하여 인정됩니다.

Q2. 중소기업이 아닌 곳에서 근무하면 어떻게 되나요?

A: 고교취업연계장려금은 중소기업 근속이 필수 조건입니다. 대기업, 공공기관, 비영리 단체에서 근무한 기간은 인정되지 않습니다.

Q3. 주 15시간 이상 근무 기준은 어떻게 적용되나요?

A: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지 않으면 근속 기간으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파트타임, 단기 계약직, 주 15시간 미만 근무는 환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Q4. 1차 지급(6개월 근속 후 250만 원)만 받고 퇴사하면 어떻게 되나요?

A: 1차 지급 후 퇴사하고 12개월을 채우지 않으면 1차 지급금(250만 원)이 환수됩니다. 따라서 2차 지급을 받지 못하더라도 12개월을 채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Q5. 취업을 늦게 하면 어떻게 되나요?

A: 졸업 후 1년 이내에 취업해야 합니다. 만약 1년이 지나서 취업하면 장려금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고교취업연계장려금은 고졸 취업을 장려하고 경제적 자립을 돕기 위한 제도입니다.

 

하지만, 환수 조건과 재직 기간을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면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만약 장려금을 받았더라도 12개월을 채우지 못하면 환수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근속 기간을 철저히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