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잔액기준 Cofix? 대출 금리 비교할 땐 꼭 알아야 할 이유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비교하다 보면 ‘신잔액기준 Cofix’란 단어가 꼭 등장하죠. 어떤 은행이 가장 유리한 금리를 제공하는지 알고 싶다면, 이 개념을 제대로 이해해두면 좋습니다.
대출 금리, 은행마다 왜 이렇게 다를까요?
대출 알아보는 분들 중 이런 생각 한 번쯤 해보셨을 거예요.
“나는 조건이 다 똑같은데, 왜 A은행은 금리가 3.6%고, B은행은 4.2%일까?”
이럴 때 흔히 마주치는 단어가 바로 ‘Cofix(코픽스)’입니다. 처음 듣는 용어인데 대출 금리의 기준이 된다니, 생소하고 어렵게 느껴질 수밖에 없죠.
출처 : 유튜브 금융정보를 모아모아
아래 이미지를 클릭 하시면 유튜브 영상으로 연결 됩니다.
이런 단어들, 꼭 다 알아야 할까요?
신규취급액 기준 코픽스, 잔액 기준 코픽스, 신잔액 기준 코픽스…
이런 말만 들어도 머리가 복잡해지는데, 당장 중요한 건 이거예요.
"내 상황에서 어떤 대출 조건이 제일 유리한가?"
맞아요, 대부분의 사람들은 상세한 금융 용어보다 지금 가장 낮은 금리를 제공하는 은행이 어디냐가 더 궁금하실 거예요.
그렇다고 코픽스를 몰라도 되느냐? 완전히 무시할 수는 없어요.
왜냐하면 변동금리 대출 금리는 코픽스를 기준으로 움직이기 때문이죠.
변동금리 대출의 기준, Cofix란?
Cofix(코픽스)란 무엇인가요?
Cofix는 'Cost of Funds Index'의 줄임말로, 은행이 자금을 조달할 때 드는 비용의 평균값이에요. 이걸 기준으로 각 은행은 자체 가산 금리를 붙여 최종 대출 금리를 산정해요.
즉, Cofix가 오르면 내 변동금리도 오르고, Cofix가 내리면 내 대출 금리도 내려간다는 뜻이죠.
세 가지 Cofix, 뭐가 다를까요?
🔹 신규취급액 기준 Cofix
최근 1개월 간 새로 조달한 자금의 평균 금리.
가장 빠르게 시장 금리를 반영합니다.
🔹 잔액 기준 Cofix
기존에 보유한 수신 상품 전체 잔액 기준 금리.
시장 변동을 천천히 반영해서 금리 변동 폭이 적어요.
🔹 신잔액 기준 Cofix
2019년부터 도입된 개념으로, 기존 잔액 기준 Cofix보다 더 다양한 항목을 포함해요.
요구불예금, 기타 차입금 등 결제성 자금까지 반영되므로 보다 낮고 안정적인 금리를 제공합니다.
어떤 기준이 내게 유리할까?
📌 변동금리 선택 시
- 단기간 내 금리 인하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될 땐 신규취급액 기준 Cofix가 유리할 수 있어요. 반영 속도가 빠르니까요.
- 반대로, 금리가 오를 것 같고 안정적인 금리를 원하신다면 신잔액 기준 Cofix 기반 상품을 선택하는 게 좋아요. 실제로 많은 시중 은행들이 신잔액 기준으로 상품을 구성하고 있습니다.
📌 고정금리 선택 시
Cofix와는 큰 관련이 없습니다.
이 경우엔 은행별 고정금리 수준과 할인 요건을 비교하는 게 우선이에요.
이렇게 비교하면 됩니다
- 내 대출 조건 확인 (신용 점수, 소득, 부채 비율)
- Cofix 기준 확인 (신잔액 기준인지, 신규취급액 기준인지)
- 가산 금리 비교 (같은 Cofix라도 은행마다 차이 존재)
- 금리 할인 조건 확인 (급여이체, 카드 사용, 자동이체 등)
- 금리 변동성 고려 (고정금리 vs 변동금리 결정)
이걸 알면 대출 금리, 덜 막막해져요
신잔액 기준 Cofix에 대해 이해하고 나면, 대출 상품 설명이 눈에 들어오기 시작해요.
실제로 많은 은행들이 '신잔액 기준 Cofix + 가산금리' 형식으로 변동금리를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신잔액 기준 Cofix + 1.2%" 같은 식이죠.
여기에 내가 혜택 받을 수 있는 조건까지 채우면 생각보다 괜찮은 금리로 주택담보대출이 가능해요.
특히 신잔액 기준 Cofix는 잔잔하게 움직이기 때문에, 향후 금리 변동에도 덜 민감하다는 장점이 있어요.
은행별 주담대 금리 비교, 어렵게 생각하지 마세요.
신잔액기준 Cofix를 중심으로, 각 은행이 붙이는 가산금리와 조건만 비교하면 됩니다.
요즘은 카카오톡 상담이나 모바일 앱으로도 손쉽게 확인할 수 있으니 꼭 활용해보세요.
'*경제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법인 취득세 중과? 임대만 해도 예외일까 (0) | 2025.04.11 |
---|---|
공공분양 중도금 대출 조건과 잔금 계획 (0) | 2025.04.09 |
피부양자 자격 되는 사람은? 소득요건·조건 쉽게 정리해드려요 (1) | 2025.04.07 |
면세사업자현황신고 절세하려면 반드시 알아야 할 비용 처리법 (0) | 2025.04.05 |
일루미스테이트 4단지 단지구조부터 커뮤니티까지 살펴보기 (0) | 2025.04.05 |